1. WebContent 배포
2. Library 배포
3. Class 배포
4. Tomcat 설정
2. Library 배포
3. Class 배포
4. Tomcat 설정
1. WebContent 배포
- Tomcat의 webapps 밑에 project 폴더(예:myprj)를 생성하여 해당 파일들을 배포합니다.
예) tomcat–webapps–myprj–
|-index.jsp
|-css
|-images
|-js
|-WEB-INF
- Tomcat의 webapps 밑에 project 폴더(예:myprj)를 생성하여 해당 파일들을 배포합니다.
예) tomcat–webapps–myprj–
|-index.jsp
|-css
|-images
|-js
|-WEB-INF
2. Library 배포
WEB-INF/lib 폴더에 *.jar 파일을 배포합니다.
* mysql 사용하실 경우에는 connector도 이곳에 배포합니다.(mysql-connector-java-5.1.15-bin.jar)
WEB-INF/lib 폴더에 *.jar 파일을 배포합니다.
* mysql 사용하실 경우에는 connector도 이곳에 배포합니다.(mysql-connector-java-5.1.15-bin.jar)
3. Class 배포
class 파일들은 WEB-INF/classes에 배포합니다.
class 파일들은 WEB-INF/classes에 배포합니다.
4. Tomcat 설정
tomcat root/conf/server.xml에 아래 내용을 수정합니다.
tomcat root/conf/server.xml에 아래 내용을 수정합니다.
1
| <Host appBase="webapps" autoDeploy="true" deployOnStartup="true" deployXML="true" name="localhost" unpackWARs="true" xmlNamespaceAware="false" xmlValidation="false"><Context docBase="프로젝트명(myprj)" path="" reloadable="true" source="org.eclipse.jst.jee.server:프로젝트명(myprj)"/></Host> |
*한글 설정
WEB-INF/web.xml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한글을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.
WEB-INF/web.xml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한글을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.
1
2
3
4
5
6
7
8
| <filter> <filter-name>encoding</filter-name> <filter-class>org.springframework.web.filter.CharacterEncodingFilter</filter-class> <init-param> <param-name>encoding</param-name> <param-value>EUC-KR</param-value> </init-param></filter> |
설정이 완료되면 tomcat을 리부팅 해주시면 됩니다.